제사 지방 쓰는 법 총 정리 BEST 모음 [쉬운 설명]

2025. 1. 25. 00:12이슈 이야기

반응형

제사 지방 쓰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설날, 추석 때 지방 쓰는 법을 참고하면 좋습니다.

지금부터 제사 지방 쓰는 법 시작합니다.

 

 

 

 

제사 지방 쓰는 법 - 기본 사항

조상님에 대한 사랑의 마음을 표현하는 명절 제사에 지방 써야 할 때가 있습니다.

보통 지방 한자가 어려워서 쓰기가 망설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설날, 추석 명절 제사 지방 쓰는 법 기본 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제사 지방 쓰는 법 기본 제사 지방은 세로로 3줄로 작성합니다.

가운데 줄 : 고인의 신위 표시, "顯(현)" 또는 "亡(망)"으로 시작하며, 고인의 관계, 이름, 신위를 반드시 적습니다.

왼쪽 줄 : 제사 대상자인 고인의 항렬 표시

오른쪽 줄 : 생자의 이름 표시, 살아 있는 후손

 

제사 지방 쓰는 법 - 기본 표현

 

제사 지방 한문, 지방 한자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지방 한문 표기를 제대로 쓰셔야 합니다.

 

제사 지방 기본 표현을 알아보겠습니다.

지방 쓸 때 표현되는 한문 위주로 알아보겠습니다.

  • 顯(현) : 돌아가신 분을 존경하는 표현.
  • 考(고) : 돌아가신 아버지.
  • 妣(비) : 돌아가신 어머니.
  • 神位(신위) : 고인의 영혼이 깃들어 있다고 믿는 자리.
돌아가신 아버지 顯考某公神位 (현고 모공 신위)
돌아가신 어머니 顯妣某氏神位 (현비 모씨 신위)

 

조부모님 지방 쓰는 표현입니다.

할아버지  顯祖考 (현조고)
할머니 顯祖妣 (현조비)
  • 증조부모: 顯曾祖考 (현증조고) / 顯曾祖妣 (현증조비)

제사 지방 쓰는 법 관련 추천 영상입니다.

 

 

제사 지방 쓰는 법 - 부모님 제사, 조부모님 제사

 

제사 지방 쓰는 법 실전 예시입니다.

 

돌아가신 부모님 제사 지방 쓰는 예시입니다.

돌아가신 부모님 지방 아버지
顯考 公神位
(현고 공 신위)

어머니
顯妣 氏神位
(현비 씨 신위)

 

조부모님 지방 쓰는 법 예시입니다.

조부모님 지방 할아버지 : 顯祖考 公神位

할머니 : 顯祖妣 氏神位

 

추석, 설날 명절 제사 지방 한자 쓰는 법 추천영상입니다.

 

 

제사 지방 쓰는 법 - 준비물

 

설날, 추석 명절 제사 지방 쓰는 법의 준비물입니다.

 

지방 쓸 때 준비물입니다.

  • 한지, 백지, 지방용 종이
  • 붓펜으로 지방 써야 합니다.
  • 지방은 제사상 향로 뒤쪽 중앙에 배치합니다.
  • 제사 끝난 후에 지방을 태웁니다.

제사
출처 네이버 이미지
제사
출처 네이버 이미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