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질병 휴직 절차 총 정리 BEST 모음[휴직 프리패스 비법]

2024. 12. 24. 23:02공무원 관련 정보

반응형

공무원 질병 휴직 원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공무원 휴직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

지금부터 공무원 질병 휴직 절차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공무원 질병 휴직 절차 - 진단서 받기

 

공무원 질병 휴직 절차의 첫 번째는 진단서 받기입니다.

요즘 각종 병원에서 공무원 질병 휴직 관련 진단서를 쉽게 끊어주지 않습니다.

 

왜냐면 나중에 문제 소지가 있기 때문입니다.

 

공무원 업무 과다로 도피성 질병 휴직을 모색하는 공무원이 늘어나고 있는 게 그 이유입니다.

물론 그 마음을 100% 이해는 합니다.

 

질병 휴직 진단서를 받기 위해서는 최소 6개월 이상 꾸준히 검사와 치료를 받은 이력이 있어야 합니다.

즉 실질적으로 아픈 상태, 질환이 있는 상태여야 합니다.

 

질병 휴직 진단서 확정 진단서만 가능합니다.

최소 6개월 이상 치료를 한 상태여야 합니다.

공무원 질병 휴직 진단서에 (상기 병으로 최소 6개월 이상 치료와 휴식이 필요 함) 이런 형식의 의사 진단이 들어가야 휴직 낼 수 있습니다.

 

 

공무원 질병 휴직 관련 추천 영상

 

 

 

 

 

 

공무원 질병 휴직 절차 - 휴직 결심

 

공무원 휴직 진단서가 나온다 해도 바로 휴직을 쉽사리 하면 안 됩니다.

 

실질적으로 근무가 불가능할 만큼 심하게 아프면 무조건 바로 질병 휴직을 하는 게 맞습니다.

하나 그게 아니라면 고민의 시간을 갖는 게 좋습니다.

 

왜 쉽게 질병 휴직을 하면 안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쉽게 휴직 하면 안되는 이유 도피성 질병 휴직인 경우 막상 휴직을 하면 패배감이 들고, 또 다시 불안해집니다.

물론 다시 복직할 때 쉬운 부서에 발령날지 모르지만, 업무 적응에 어렵습니다.



실제로 아파서 휴직하는 경우는 어쩔수 없지만, 애써서 질병 사유를 만들어서 휴직을 하는 경우는 이미지가 나빠집니다.

직원들이 모르는 거 같아도 다 압니다. 꾀병인지 실제로 아픈지
아픈 사람 이미지가 생깁니다.

한번 질병 휴직을 하면 회식이나 어딜 가도 어디 아팠냐고 물어봅니다.

그리고 다음 인사 이동할때도 중요 승진 자리에 발령이 나지않습니다.

물론 일을 더 잘하고 대인관계 잘하면 해결됩니다.

 

공무원 질병 휴직을 억지로 애써서 도피성으로 하게 되면 나중에 승진도 엄청 밀립니다.

동기들에게 밀리고 후배들에게도 밀리고 나중에 업무 적응도 안되고, 복직이 두렵기까지 합니다. 신중하십시오.

 

 

 

공무원 휴직 주의 사항 best 모음 [휴직 전 필독 사항]

공무원 휴직을 준비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공무원 휴직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도움을 드리고자 휴직 주의 사항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휴직 전에 미리 상의할 것간혹 공무원 동료 중에

rlaqjatn0071.tistory.com

 

 

공무원 휴직 전 필수 체크 사항 best 모음[육아휴직, 질병 휴직 등]

공무원 휴직 전 필수 체크 사항을 가지고 왔습니다. 오늘은 공무원 휴직 전에 알아봐야 할 것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공무원 휴직 필수 사항을 숙지하시고 하시길 바랍니다.  나는 휴직할 관상

rlaqjatn0071.tistory.com

 

 

 

 

 

공무원 질병 휴직 절차 - 계장님, 인사과 말하기

 

진단서가 확보되고, 본인도 휴직할 결심을 했다면 이제는 말해야 합니다.

 

처음 휴직을 신청하는 공무원 중에 무작정 인사과에 가서 말하는 경우가 있는 데 그러면 안 좋습니다.

 

질병 휴직 알리는 순서입니다.

질병 휴직 알리는 순서 1. 가장 가까운 담당 계장님, 차석에게 제일 먼저 의논하고 말씀드립니다. 예의입니다.

    휴직을 내면 가장 가까이 있는 직원들이 당황하거나 일을 떠맡게 될 가능서이 커서 
     
    무조건 본인 계에 말하는 게 우선입니다.


2. 인사과에 가서 인사 담당자에게 말합니다. 인사 교류는 어렵지만 질병 휴직은 거의 왠만하면 허락합니다.

3. 인사과에 말한 다음은 담당 부서장님께 말씀드립니다.

 

 

제대로 공무원 질병 휴직 내는 방법 후기 완결판

공무원 업무 중에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휴직을 낼 가능성이 많습니다. 오늘은 공무원 질병 휴직 내는 방법과 후기를 간단하게 말해드리겠습니다. 공무원 질병 휴직 첨부 서류 과도한 업무와

rlaqjatn0071.tistory.com

 

 

 

 

 

 

공무원 질병 휴직 절차 - 다양한 사례

 

보통 공무원 질병 휴직은 허리 디스크, 안과 질환, 정신질환, 우울증 등이 가장 많습니다.

 

최근에 가장 많은 공무원 질병 휴직 사유는 우울증입니다.

우울증 질병 휴직이 정말 애매한 게 직원들은 아프게 보지 않는 데 본인만 힘이 든 것입니다.

 

실제로 우울증 휴직 사유를 제시하면 그냥 참아라고 말하는 경우도 정말 많습니다.

하나 실질적으로 어느 질환이든 본인이 정말 아프다면 하는 게 맞습니다.

 

질병 휴직 단골 사유 허리디스크, 눈 수술, 암 치료, 우울증, 골절 질환, 사고 

공무원

반응형